앞선 글에서 공모주에 청약하고 매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공모주 청약은 상장일에 배정받은 주식을 매도하여 단기 차익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했어요. 그래서 오늘은 공모주 상장일에 매도를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려고 해요.
1. 공모주 상장일 시초가
공모주 상장 직후 시초가에 매도를 하는 이유는 안정적으로 단기 차익을 실현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어요. 공모주 상장 이후에 가격이 계속 상승하거나 하락할 두 가지 가능성 모두 존재하지만 시초가에만 매도를 해도 하락으로 인한 손해를 최소화하면서 어느 정도의 수익을 실현할 수 있어요.
최근 빽햄 논란으로 시끄러운 백종원의 더본코리아의 경우, 상장 이후에 지속적인 가격 하락을 겪고 있기 때문에 공모주를 시초가에 매도하지 않고 계속 가지고 있었다면 손해가 컸을 것으로 예상돼요. 하지만 큰 욕심 없이 공모주를 시초가에 매도했을 경우의 평균적인 데이터는 수익률 최대 +153%에서 하락률 -17.53%를 보이고 있어요. 대체적으로 수익을 얻고 있고, 시초가에 비해 종가가 떨어진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에 시초가에 매도하는 것이 더 나은 상황을 만들어 준다고 할 수 있어요.
2. 공모주 시초가 매도 방법
1) 주문 시간
장이 열리는 08:30~09:00 사이에 매도 주문을 넣어요. 시초가로 매도하려는 경우에는 08:30 이후에 바로 공모가의 60% 가격에 매도를 걸어놓으면 9시 시작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운 대부분의 직장인들도 시초가를 놓치지 않고 매도할 수 있어요.
혹시 시초가에서 계속 가격이 오를 거 같다고 생각하는 분은 장이 개장한 이후에 가격의 추이를 보고 원하는 가격에 매도를 시도하면 돼요.
2) 주문 가격
시초가에 매도를 하기 위해서는 공모가의 60% 가격으로 매도를 걸어놓으면 돼요. 공모주의 상장 당일 시세는 최저 공모가의 60%까지 하락하거나 최대 공모가의 400%까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가장 낮은 가격이라고 할 수 있는 공모가의 60% 가격으로 매도 주문을 걸어놓으면 되는 거예요.
3) 동시호가
시초가에 매도를 하기 위해서는 장이 열리는 08:30~09:00 사이에 공모가의 60% 가격으로 매도를 걸어놓으면 된다고 설명했는데요, 그럼 예를 들어 5만원짜리 공모주가 60% 가격인 3만원에 매도가 체결되는 것은 아닐지 걱정할 수 있을 거예요. 이는 동시호가의 개념을 통해 그 걱정을 덜 수 있어요. 동시호가는 주식시장에서 특정 시간에 모든 주문을 한꺼번에 받아서 주식의 시초가 또는 종가에 거래를 모두 체결하는 거예요. 장시작과 장마감에 시초가 매도, 종가 매도가 있는 건데요, 공모주 상장일에는 장시작 08:30~09:00에 들어오는 모든 주문을 한꺼번에 시초가로 처리하게 되어 있어요. 08:30~09:00에 주문된 건들은 모두 한꺼번에 시초가에 체결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다만, 시초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도 주문을 했다면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돼요.
안정적으로 단기 차익을 실현하기 위한 공모주 청약과 시초가 매도 방법 어떤가요? 수익이 크지는 않더라도 간단하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수익을 챙길 수 있으니 소소한 용돈벌이로 활용해 보길 추천 드려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청약] 공모주 초보를 위한 공모주 청약하고 매도하는 법 (0) | 2025.03.23 |
---|---|
[세금신고] 프리랜서 5월 종합소득세 신고 – 장부 작성과 경비 반영 (0) | 2025.03.17 |
[세금절약] 프리랜서 3.3% 세금과 종합소득세 절약 팁 알아보기 (0) | 2025.03.16 |
[세금절약] 비과세 근로소득 알아보고 세금절약 하기 (0) | 2025.03.11 |
[세금절약]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차이점 알아보고 세금절약 하기 (1)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