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세금신고] 프리랜서 5월 종합소득세 신고 – 장부 작성과 경비 반영

by Tutor_Lucy 2025. 3. 17.

앞선 글에서 프리랜서의 원천징수와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프리랜서의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려고 해요. 프리랜서가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는 장부 작성과 경비 반영이 필수적인데요, 이러한 장부 작성 방법과 경비 반영에 따른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4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종합소득세 신고란?

프리랜서는 1(11~1231) 동안 얻은 소득에 대해서 그 다음 해 5(매년 51~531)에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납부를 해야 돼요. 이 때 1년 동안의 총소득 금액에서 경비항목과 공제항목을 차감한 후에 실제 이익을 기준으로 최종적이고 확정적으로 납부해야 될 세금을 계산해요.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납부세액 = (수입금액필요경비 소득공제) X 종합소득세율 각종 세액공제 합계액

 

이렇게 계산한 종합소득세 확정세액이 원천징수로 이미 납부한 3.0% 세액 합계액보다 크면 이 차액을 추가 납부해야 하고, 반대로 종합소득세 확정세액이 적으면 그 차액을 환급 받게 돼요. 이 때 지방소득세 0.3%는 기준에서 제외 돼요.

*프리랜서 원천징수 세액 3.3% = 국세 3% + 지방소득세 0.3%

 

2. 장부를 작성하여 신고하는 방법

소득금액 계산을 수입금액에서 납세자가 입증한 실제경비를 차감하여 계산하는 방식으로, 국가가 정해준 간편장부 또는 복식부기장부 방법으로 진행해요.

 

1) 간편장부

연 소득 7,500만원 미만이거나 신고를 진행하는 직전 해에 신규로 일을 시작한 경우에 간편장부를 작성하여 신고할 수 있어요. 간단한 수입과 지출 장부를 작성하는 것으로 비교적 쉬운 편이나 경비 인정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신고 누락 시에는 일반 가산세가 적용돼요. 이러한 간편장부 대상자는 복식부기장부로 선택하여 신고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기장세액공제액을 산출세액에서 추가로 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이득이 될 수 있어요.

 

2) 복식부기장부

연 소득 7,5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복식부기장부를 작성해서 신고해야 돼요. 회계원칙에 따른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등의 장부를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세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고, 미작성 시 무기장 가산세 20%가 추가 부과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돼요. 하지만 비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 절세 가능성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어요.

 

3. 장부를 작성하지 않고 신고하는 방법

소득금액 계산 시 수입금액에서 국가가 정해준 업종별 추정경비를 차감하여 계산하는 방식으로, 장부를 작성없이 수입금액에서 추정경비를 차감하여 계산한 금액을 소득금액으로 보고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하게 돼요. 이를 세법에서는 추계신고(이익을 추정하여 계산)라고 하며, 종합소득세 신고 안내문에 추계신고 시 반영하는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이 표기되어 있어요.

 

1) 단순경비율

단순경비율은 일정 비율의 경비를 자동으로 인정받는 방식으로, 업종에 따라 소득금액의 최대 60%까지 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 전 년도 수입금액이 2,400만원 미만이면서 소득신고를 진행하는 당해 수입금액이 7,500만원 미만인 경우와 당해 신규로 일을 시작하여 수입금액이 7,500만원 미만인 경우에 단순경비율을 적용하여 신고할 수 있어요.

 

2) 기준경비율

기준경비율은 실제 경비를 바탕으로 계산하여 업종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방식으로, 전 년도 수입금액이 2,400만원 이상인 경우와 당해 신규로 일을 시작하여 수입금액이 7,500만원 이상인 경우에 기준경비율을 적용하여 신고해요.

 

장부를 작성하여
신고하는 방법
① 간편장부 연 소득 7,500만원 미만
② 복식부기장부 연 소득 7,500만원 이상
장부를 작성하지 않고
신고하는 방법
③ 단순경비율 전 년도 수입금액이 2,400만원 미만이면서
소득신고를 진행하는 당해 수입금액이 7,500만원 미만인 경우
④ 기준경비율 수입금액이 2,400만원 이상인 경우와
귀속되는 해에 신규로 일을 시작하여 수입금액이 7,500만원 이상인 경우

 

이렇게 프리랜서의 종합소득세 신고는 간편장부, 복식부기장부,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4가지 방식이 있고, 자신의 상황과 소득에 맞는 방법으로 진행이 돼요. 어떤 방법으로 신고를 하더라도 가장 중요한 건 경비항목과 공제항목을 꼼꼼하게 확인하여 준비하는 거예요. 프리랜서 분들은 다가오는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해당 내역을 미리 꼼꼼하게 정리해 보시길 추천 드려요.